위는 멘토님이 정리해주신 페이지
인공지능은 확률 모델이기 때문에, 결과 값은 계속 바뀔 수 있습니다.
때문에 중간 레이어를 추가하여 맞는 형식에 데이터가 나오지 않으면 재실행하고 나오면 패스하는 형태의 로직을 많이 추가합니다.
추가적으로 최대 재실행 횟수를 정해야겠죠? 정하지 않으면 recursive하게 계속 재실행될테니까
지금 보여주신 지침은 지침이 되게 많은데, 작은 것으로 하나의 테스크 씩을 맡아서 여러 개 넣어보는 방식도 써보면 좋습니다.
멘토님의 프롬프트 예시
출력 형식: { "summary": "핵심 요약 (300자 이내)", "key_points": ["핵심 포인트 1", "핵심 포인트 2", "핵심 포인트 3"], "category": "문서 카테고리", "sentiment": "긍정/부정/중립" } 2.
규칙: - JSON 형식을 엄격히 준수할 것 - key_points는 반드시 3개 제공할 것 - summary는 300자를 초과하지 않을 것
이런 경우에 어떻게 하면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할 수 있을까요? 방향성이 궁금해요.
사용자 경험에 대한 ai의 중요성은 두 가지로 나뉠 것 같습니다.
gpt 같은데서 코드 작성해달라고 했는데 잘 작동하지 않는다. 이런 메인 프로덕트가 생산되는 방식이라면 ai가 경험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유튜브 알고리즘처럼 원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는다면 그냥 넘어가면 되는 보조적인 부분을 맡고 있다면 경험을 크게 해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사용자 경험을 해치는 것이 걱정이 된다면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지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사용자의 클릭률 같은 것을 보고 이런 포스트는 좋아하고 저런 포스트는 크게 좋아하지 않는구나 판단하고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